항공운송이란 항공기를 이용하여 여객이나 화물을 싣고 통상의 공로를 따라 공항에서 다른 목적지의 공항까지 운항하는 수송 시스템을 말한다. 항공운송이 육상운송이나 해상운송 등 다른 운송수단에 비해 신속하다는 것을 누가보아도 명확한 사실이며 이러한 이유로 날이 갈수록 항공운송이 국제운송에서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항공운송의 특성과 장점
항공운송은 해상이나 육상운송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특성과 장점을 갖고 있다.
첫째, 항공운송의 최대 장점인 신속성이다. 이는 수송기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납기가 촉박한 긴급상품이나 계절상품 등과 같이 시간에 민감하여 기회비용이 가장 중요시되는 상품은 해상이나 육상운송보다는 신속한 항공운송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선, 식료품, 생화, 산 동물, 신문, 잡지 원고, 상업서류 등이 있다.
둘째, 안전성이다. 항공운송은 다른 운송에 비해 가장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파손이나 도난의 위험이 높은 모피, 귀금속, 약품, 전자제품, 광학 기기, 반도체 제품 등의 운송에 적합하다.
셋째, 경제성이다. 운임은 해상운송에 비하여 높으나 포장비, 창고료, 관리비 등의 종합 비용을 고려해 볼 때 오히려 경제성을 갖춘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항공운송은 대형, 대량화물의 운송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대체적으로 운임이 비싸며, 이용가능지역이 제한되는 단점도 있다.
항공운송대리점 및 항공운송주선업자
일반적으로 항공운송에 있어서는 화주가 항공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계약하기보다는 항공운송대리점이나 항공운송주선업자와 화물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관행화되어 있다.
(1) 항공운송대리점(Air Cargo Agent)
항공운송대리점은 항공사를 위하여 유상으로 항공기에 의한 화물운송계약 체결을 대리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이다. 항공사를 대리하여 항공사의 운송약관, 규칙, 운임률표 및 운행시간표에 의거하여 항공회물운송을 유치하고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을 발행하며 이에 부수되는 모든 업무를 수행하며, 그 대가로 대리점 계약에 의거한 소정의 수수료를 취한다. 모든 항공화물을 취급하지만 한 건테이너를 채우지 못할 정도로 적은 소량 화물의 경우 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항공운송주선업자에게 의뢰하기도 한다.
(2) 항공운송주선업자(Air Freight Forwarder)
항공운송주선업자는 자기의 명의로써 여러 화주로부터 화물을 인수 후 항공사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것을 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항공운송주선업자는 자체의 운송약관과 운임률표를 가지고 혼재업자용 화물운송장(House Air Waybill)을 이용하여 화주와 운송계약을 체결한다. 집하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항공사와는 별도로 운송계약을 체결하여 항공사발행의 화물운송장(Master Air Waybill)을 발급받는다.
3. 항공화물운송장
항공화물운송장은 화주와 운송인 간에 화물의 운송계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서류이며, 동시에 화주로부터 화물을 수령하였다는 증거서류이기도 하다. 이러한 항공화물운송장이 갖는 기능은 다양한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운송계약 체결의 증거서류
② 운송물품 수령증
③ 운임ㆍ요금의 청구서, 요금계산서(Freight Bill)
④ 항공사의 화주보험이 체결된 경우 보험증명서
⑤ 세관신고서류
⑥ 항공회사에 대한 운송품의 취급, 중계, 인도 등에 관한 지침서
항공회물운송장은 국제항공사협회(IATA)에서 세부적으로 통일하고 표준화한 양식과 발행방식을 모든 항공사가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항공운임요율
전 세계적으로 항공운임은 IATA 요율을 사용하고 있다.
1) 일반화물요율(General Cargo Rate)
일반화물요율은 다음에 설명하게 될 특정품목 할인요율 또는 품목분류요율이 적용되는 화물을 제외한 모든 화물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율이라 할 수 있다.
일반화물요율에는 최저운임(Minimum Charge), 45 kg 미만, 45 kg 이상, 100 kg 이상, 300kg 등 중량에 따른 요율 등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대체로 중량이 높을수록 kg당 더 저렴한 요율이 적용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2) 특정품목할인요율(Specific Commodity Rate)
이 요율은 특정구간에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운송되는 품목에 대해 일반품목보다 요율을 낮춤으로써 항공운송이용을 촉진하고 확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상으로 운송되는 품목 중에서도 항공운송에 따른 이점이 많은 품목에 대해 이 요율을 설정함으로써 항공운송을 이용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이 요율은 해당 요율마다 설정된 최저중량의 제한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대량의 상품운송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3) 품목분류요율(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이 요율은 몇 가지 특정품목에만 적용되는 요율이며, 또한 특정지역 간에만 적용되기도 한다. 이 요율이 적용되는 특정품목은 신문, 잡지, 정기간행물 등 서적과 사체, 비동반 수화물, 귀중화물, 생물 및 동물 등이 있다. 사실 이 품복분류요율은 별도로 설정된 것이 아니고 기존운임율표에 운송구간에 따라 할인해 주거나 할증하여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