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무역계약 과정 : 포장조건 작성

by rns1 2024. 2. 14.

무역거래에서 포장이란 목적물을 매매, 수송, 하역, 보관 등의 처리함에 있어서 그 물품의 내용과 외형을 보고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둘러싸는 작업을 말한다. 수출포장은 충분히 튼튼하게 해야 함이 마땅하나 필요이상으로 무겁고 크게 되면 운송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수출포장은 가볍고 부피가 작으면서도 튼튼하고, 비용적으로도 저렴하면서도 보기 좋은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목적물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서 포장은 달리하여야 할 것이며 도착지와 운송도중의 기후, 환적의 횟수, 도착국의 화물포장에 관한 법규, 상관습 등도 충분히 고려하여 가장 안전하면서도 합리적인 포장을 해야 한다.

또한 제품은 운송, 환적 또는 하역과정에서 손상되거나 분실 또는 잘못 운송되기 쉬우므로 화인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서 미리 계약으로 명시해 놓는 것이 필요하다.

수출포장의 종류

(1) 개장(unitary packing)

개장은 일반적으로 소매 판매를 위해서 물품의 최소단위로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것이다. 개장에 상표나 제조업체 등의 이름을 표시하여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2) 내장(interior packing)

내장은 개장된 물품을 운송이나 취급에 편리하도록 판지나 플라스틱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용기에 담는 것을 말한다. 튼튼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내용물이 수분이나 습기 또는 빛이나 진동 등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보통 외장의 내부에 판지, 솜, 플라스틱 등을 채우거나 칸막이를 사용한다.

(3) 외장(outer packing)

외장은 화물 수송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변질, 도난,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하는 것을 가리키며 또한 화물을 주의해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도 있다. 대개 정형화된 포장방식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wooden case, carton, bag, drum 등을 많이 이용한다.

화인

화인(shipping marks, cargo marks)이란 화물의 외장에 특정 기호나 번호, 목적지, 취급주의 문구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매도인으로부터의 인도에서 매수인에게로의 인수까지 운송되는 동안에 혼란과 지연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확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운송물을 취급하는 관계자들은 화인을 통해 그 특성에 맞추어 다루고 다른 화물과의 식별 함으로써 화물의 손상과 오송을 방지할 수 있다.

화인의 주요 내용은 기호 및 번호(marks and numbers)이며, 이는 선하증권 및 송장 등에도 기재되어 있기에 화물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한다. 기호와 번호가 불완전하게 표시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에 대해서는 매도인이 책임을 져야 한다.

(1) 주화인(main mark)

주화인은 다른 화물과의 식별을 쉽게 하게 위해 그려 넣는 일정한 기호이다. 보통 외장면에 삼각형이나 다이아몬드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표시를 하고 그 안에 매도인 상호의 약자 등을 써넣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삼각형 등의 그림 없이 문자나 숫자만 넣기도 한다.

(2) 부화인(counter mark)

주화인의 보조로서 같은 롯트의 다른 화물과 식별을 하기 위해서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화인으로 내용물의 품질 또는 품질 등급을 표시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부화인은 품질표시(quality mark)가 된다.

(3) 중량 표시(weight mark)

화물의 순중량(net weight)과 총중량(gross weight)을 표시한다. 용적표시(measurement mark)가 필요한 경우에는 용적에 대한 내용도 표시해 넣는다.

(4) 목적항 표시(port mark)

화물의 선적 또는 양하작업 중 오송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목적항이나 목적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홍콩을 거쳐 부산으로 운송할 경우 'BUSAN VIA HONGKONG'으로 표기한다.

(5) 번호(case number)

포장된 화물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모든 포장물에 총 몇 개 중에서 몇 번째에 해당하는 화물인지를 일련번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총 30 상자 중에 5번째 화물상자라고 하면 'Nos. 5/30'으로 표기한다. 해당 숫자가 적힌 화물은 포장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 원산지 표시(country of origin mark)

화물의 원산지 표시이다. 'MADE IN KOREA', 'MADE IN CHINA' 등과 같이 표시한다.

(7) 주의표시(caution mark, care mark)

선적 또는 하역 과정 중 주의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보통 보기 쉽게 또는 읽기 쉽게 갈고리, 우산 등과 같은 그림으로 표시하며 주로 측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side mark'라고도 한다. 이런 주의표시에는 FRAGILE, THIS SIDE UP, OPEN HERE, KEEP DRY, WITH CARE, USE NO HOOK 등이 있다.